인생은 평생 공부다/윤동주 시 해석

슬픈 족속(族屬) - 윤동주 해설 해석, 흰 수건 흰 고무신 흰 저고리 흰 띠

한이 HanE 2024. 3. 13. 11:00
반응형

슬픈 족속 윤동주 해설 해석
윤동주 시 해설 모음 슬픈 족속

 

슬픈 족속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윤동주

 

흰 수건이 검은 머리를 두르고

흰 고무신이 거친 발에 걸리우다.

 

흰 저고리 치마가 슬픈 몸집을 가리고

흰 띠가 가는 허리를 질끈 동이다.

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1938.9


 이 시를 보면 떠오르는 것이 있을 것이다.

 

 바로 우리나라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머리카락색과 하얀 옷이다.

 

 우리나라는 고대부터 제천사상과 여러 종교 사상으로 인해 흰색을 숭상하고 흰옷을 즐겨 입었다. 흰옷이라고 하여, 완전한 백색이 아닌, 가공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색, 즉 아주 밝은 미색부터 담갈색까지 모두 포함했다.  또한 백의는 일제강점기에 일제에 항거하는 상징으로, 민족의 정체성을 드러내기도 했었다. (출처 : 백의민족 > 한국민족문화대백화)

 

 이러한 백의 문화는 <슬픈 족속>에 드러나있다.

 

◆ 흰 수건과 흰 고무신, 정신 그리고 목표

(1연)

흰 수건이 검은 머리를 두르고
흰 고무신이 거친 발에 걸리우다.

 

 우리나라 사람들은 대다수 검은 머리카락(혹은 어두운 갈색)을 가졌기 때문에 머리에 하얀 수건을 감싸면 눈에 띈다. 그러나 흰 수건을 머리에 감싸는 것을 마다하지 않고, 관리할 수 없고 노동으로 인해 거칠어진 발에도 흰 고무신을 신었다.

 

 넓게 해석해 보자면, 흰 수건은 머리를 감싸기 때문에 일본에 투한할 의지와 정신력을 의미하고, 거친 발에 흰 고무신은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것이다.

 

◆ 흰 저고리 치마와 흰 띠, 체력 그리고 마음/의지

(2연)

흰 저고리 치마가 슬픈 몸짓을 가리고
흰 띠가 가는 허리를 질끈 동이다.

 

 흰 수건과 흰 고무신으로 끝이 아니었다.

 

 당시에 나라를 빼앗겼는데 슬프지 않았을 어른이 어디 있었겠는가. 시대를 알아도 쉬쉬하며 침묵을 유지해야만 살아남을 수 있었다. 그렇기에 슬픔을 흰 옷으로 가리고, 흰 띠로 못 먹어서 가늘어진 허리를 묶었다.

 

 윤동주 시인은 당시 민족의 가장 평범한 일상을 잔잔하게 그려내면서도, 그 일상 속에서 일본과 투쟁하는 백의, 그리고 숨길 수 없는 슬픔과 고통을 <슬픈 족속>에서 그려내지 않았나 싶다. 즉, 민족들이 백의를 입음으로써 꺾이지 않은 독립 의지와 일상 속에서도 작은 항쟁을 하는 것이다.

 

 


- 편집 프로그램  : 미리 캔버스

- 사용된 폰트/글꼴 : 독립서체 윤동주 별헤는밤

- 모든 게시글에서 '시 해설' 부분은 저작권이 있습니다. 

 

반응형